ITQ자격증/엑셀

ITQ엑셀 - 제1작업 표서식 작성 및 값 계산 - (3) Rank.EQ함수 , IF함수, Right함수, Left함수 , Mid함수

SmileLion 2021. 10. 6. 22: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웃는 사자입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7일이 되었네요. 아직 ITQ한과목밖에 끝내지 못해서 맘이 급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여유를 가지고 하다보면 ITQ세개의 과목을 여러번 기출을 풀날이 오겠죠 ^^

육아 퇴근을 하면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오늘 하루 종일 내가 아이에게 잘해줬나...사실 오늘 분노조절 장애가 온것이 아닌가 싶은 날이였거든요.

아이는 전생이 원수라더니... 그거 복수하러 오늘 날잡았나 싶더라구요.. 그래서 많이 화냈는데

에휴... 자고있는 모습보면 딱하고.. 오늘은 맘이 좀 그런 밤입니다. ㅜㅜ 슬프네요...

 

지금 우리가 공부하고있는 것은 ITQ엑셀 기출 문제중에 2021109회차 A형 문제입니다. 

엑셀의 꽃은 함수죠 ^^ 

저는 함수가 참 좋더라구요. 조금만 원리를 알면 척척 다 계산해주고 ^^

함수 문제 조건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기순위 : 판매수량의 내림차순 순위를 구한 결과값에 "위" 를 붙이시오.

                  (RANK.EQ함수, & 연산자) 결과 값 예 : 1위

자 그럼 순위 하면 딱 RANK죠 그런데 전 옛날 사람이라 그런지 몰라도 RANK.EQ함수 자체가 참 생소합니다.

전 만약 저렇게 시험문제가 나왔는데 시험장 이였다면 당황했을꺼에요.

제 머리속엔

이런 RANK함수만 머리에 있거든요. 그래서 내림차순 구하시오. 하면 0을 마지막 order자리에 넣었겠죠.

Rank.EQ함수도 별거 아니네요 ^^ 그냥 방법은 같습니다. 그럼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순위라는 건 지금 내 자신의 순위가 궁금 한거잖아요!!

전체 범위에서 범위는 변하지 않아서 고정 이것이 무슨 의미이냐면!!

일단 내가 가수라고 쳐봅시다.  뮤직뱅크에 나갔습니다. 10명중에서 몇등일지 알고싶습니다.

그 10명이 어쩔때는 BTS가 포함되고 어쩔때는 빠지고 그러는 것이 아니라

그 10명이 고정이고 그 고정내에서 내가 몇등인지 파악을 하는것입니다. 알기쉽게 설명이 되었나요?

고정은 어떻게 하는것이냐!!!!!

바로 절대참조 F4 단축키를 눌러줍니다. 그럼 $ 표시가 붙는데요. 

절대참조를 한경우와 하지 않았을 경우 비교해서 알려드릴게요.

이건 절대참조 를 사용하였을 경우입니다. 절대참조F4키를 이용해서 범위 부분을 고정해주고 채우기핸들을 사용해서 아래로 내려주면 인기순위가 두번째 처럼 나타납니다. 자세히 하나의 셀을 클릭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이렇게 각각의 셀에 결과값이 나타납니다.

범위가 고정이 되니 인기순위가 순서대로 잘 나타나죠.

 

그런데 절대 참조를 하지 않고 채우기 핸들을 사용하여 채우면!!!

이렇게 순서도 엉망이됩니다. 그이유는 오른쪽 그림처럼 범위가 달라져서 순서를 정할 숫자가 사라지는거죠!!

그래서 절대참조가 엄청 중요한것입니다.

절대 참조를 하기 싫다면!!!! 전 그런 기능 못하용하겠어요!! 하시면.....

그냥 8번 Rank함수 사용하시면 됩니다... ㅜㅜ

 

그럼 절대 참조를 하는 F4 키는 언제 누르냐!!! $를 어떻게 붙이냐!!!

ref 부분 영역을 잡고나서 바로  F4키를 한번 누르면 됩니다. 쉽죠!!! ^^

F4키를 너무 많이 누르게되면 고정되는 부분이 행이되기도 하고 열이 되기도 하고 변화하니 꼭 $표시가 행과 열에 다 붙도록 1번만 눌러주세요!!!

 

그럼 이제 연산자 &의 사용인데요. 분명 문제 조건에 순서뒤에 "위" 자를 붙이라고 했습니다.

이렇게 함수식 뒤에 &연산자를 써주고 필요한 글자를 큰따옴표 안에 넣어서 써주고

채우기 핸들을 해주면 됩니다. 간단하게 해결했죠 ^^

 

Rank함수 금방 설명이 끝날줄 알았더니 할말이 많았네요.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2) 조리방법 : 반찬코드의 마지막 글자가 1이면 "볶음/조림". 2면 "무침", 그외에는 "찜" 으로 구하세요 

                  (IF, RIGHT 함수)

 

이정도 조건이면... 거의 함수 설명을 조건이 다 해준거나 마찬가지 입니다.

IF함수 설명을 조건이 다해줬네요. ㅎㅎㅎ

이런 간단한 의미입니다. 참 쉽죠 ^^ 

그럼 RIGHT 함수를 설명하겠습니다. 사실 이 함수 같은 경우는 3가지 경우가 있는데요.

LEFT 함수, MID 함수, RIGHT 함수 이렇게 3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그럼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

처음 LEFT함수(Text, [num_chars]) 입니다.

간단하죠 ^^

 

 RIGHT함수(Text, [num_chars]) 입니다.

마지막으로 MID함수(Text, start_num, num_chars) 입니다.

예전에는 주민등록번호 7번째 자리 숫자가 1,3이면 남자, 2,4면 여자 라고 표시해주세요.

이런문제가 나올때 IF함수와 함께 Mid함수를 사용하곤했었습니다. 지금도 나오려나??

자 그럼 함수 사용방법은 알았으니

두함수를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겠지요 ^^

 

다시 조건으로 돌아와서

조리방법 : 반찬코드의 마지막 글자가 1이면 "볶음/조림". 2면 "무침", 그외에는 "찜" 으로 구해보겠습니다.

직접 답에 맞게 여기에 써보자면

=IF(Right(B5,1)="1","볶음/조림",if(Right(B5,1)="2","무침","찜")) 이렇게 중첩IF 문이 나오겠네요.

그나마 결과값이 종류가 3개라 if를 2번 사용했지 4개였음.. if를 3번 사용해야겠죠 ^^

 

간단하죠 ^^ 

=IF(Right(B5,1)="1","볶음/조림",if(Right(B5,1)="2","무침","찜"))<<좀더 쉽게 묶어보자면.

이렇게 만약 보라색값이 나오면, 파란색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초록색을 출력해라.

이겠죠. 그런데 그 초록색에도 조건이 있습니다. 2면 무침, 3이면 찜인데.. 2가지를 동시에 출력할수 없으니 나눠 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초록색만 보자면... if(Right(B5,1)="2","무침","찜")

앞의 보라색이 결과로 나오면 파란색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초록색을 출력하라입니다.

똑같은게 두번 들어가서 우리가 중첩IF라고 부르는 거겠죠 ^^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문제 1번 2번 2개 푸는데 뭔설명을 이렇게 많이 하는지 답답하시죠 ㅡ.ㅡ; 그래도 다 피가 되고 살이 됩니다.

함수는 재미있거든요. ^^ 예전에 회사다니던 동생이 언니 어떻게 이걸 어떻게 해줘야 결과를 내게 만들어야할지 모르겠어 그때 제가 함수로 해결해줬던...ㅎㅎㅎ 제자랑이였습니다.. ㅎㅎㅎ

 

근데 많이 잊어버렸네요... 지금도 이렇게 설명드리면서 다시 머리속에서 끄집어 내고있습니다.

머리는 쓰면 쓸수록 좋아지고 치매예방도 된다하니 더 써보렵니다.

 

그럼 이제 밤도 늦었으니 자러 가야겠습니다.

여러분 힘내세요 ^^

반응형